국내외 리콜, 안전사고 (66) 썸네일형 리스트형 키즈카페 전동기차에 발 끼어 3살 아동 숨져 경기도 안산시의 한 키즈카페에서 실내에 운행하는 기차 놀이기구를 타던 아이가 레일에 발이 끼여 숨졌는데요. 자세한 내용은 위의 동영상을 참고해주세요. 출처 : 키즈카페 전동기차에 발 끼어‥3살 아동 숨져 (imbc.com) 포천 평강식물원에서 집라인에서 부상 사고 발생 지난 11월 5일, 경기도 포천시에 있는 평강식물원에서 집라인과 관련된 부상 사고가 발생했다고 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포천 평강식물원에서 짚라인 추락 탑승자 1명 부상 (makingnews.kr) 스카이 트레일 연속 빌레이 사망사고 2014년 플로리다주에서의 스카이 트레일의 연속안전확보 시스템인 연속빌레이 결함으로 인한 체험자 사망사고 직후, 언론에 사과문 발표하는 RCI adventure 사의 짐 리깃 RCI 대표. 연속빌레이 장치의 근본적 결함에 따른 사고였기에 워낙 업계와 일반 대중에 미친 충격과 파장이 커서, 기자회견까지 하게 되었습니다. 출처 : www.wesh.com/amp/article/owner-of-sky-trails-ropes-course-speaks-after-fatal-fall/3840573 '공포의 미끄럼틀' 개장 하루 만에 폐쇄 지난 8월 19일, 미국 미시간 주 디트로이트의 벨 아일 공원에 등장한 미끄럼틀인데요. 1달러, 1,300원 정도만 내면 탈 수 있어 개장 전부터 기대를 모았지만, 하루 만에 폐쇄됐다고 합니다. 출처 : [이 시각 세계] '공포의 미끄럼틀' 개장 하루 만에 폐쇄 (imbc.com) 워터파크서 8분간 떠 있었는데..끝내 하늘로 간 아이 경찰이 중대재해법 적용 검토중이라는 이 기사를 보실려면 아래의 페이지를 들어가보세요. [단독] 워터파크서 8분간 떠 있었는데..끝내 하늘로 간 아이 [앵커] 태권도학원에서 다 같이 워터파크에 갔던 여덟 살 어린이가 물에 빠졌습니다. 8분 동안 아이가 물에 엎드린 채 떠 있었지만 안전 요원도, 학원 관계자도 알지 못했습니다. 심정지 된 아이 news.v.daum.net 독일 레고랜드에서 롤러코스터 추돌사고 지난주 8월 11일 독일 레고랜드에서 롤러코스터끼리 추돌하여 34명이 부상당하고 이중 2명은 중태. 도착 플랫폼에 정차해 있던 선행 롤러코스터를 후행 롤러코스터가 진입하며, 그대로 충돌. 현재 사고원인을 조사중입니다 이사고 얼마전 지난주 독일 클로텐의 놀이공원에서 한 여성이 또 다른 롤러코스터 사고로 사망했습니다. 롤러코스터를 타던 57세 여성이 롤러코스터를 타던 중 넘어져 숨졌습니다. 주기적인 안전관리 점검 및 안전 운영 매뉴얼을 구축하여 비상 상황에서도 사고가 발생하지 않게끔 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출처 : Support the Guardian https://www.theguardian.com/world/2022/aug/11/dozens-hurt-in-leg.. 중국서 잇따르는 '공중다리' 추락사고…해당 관광지들은 출입 금지 사용된 교량 제조업체의 대변인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안전 장치의 결함이 사고의 원인일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덧붙여 장애물 코스에서 사용되는 모든 안전 장비는 주기적으로 재인증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마모로 인해 장비의 효율성이 떨어지며 수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제조업체의 대변인은 또한 교량을 설치한 후 긴급 상황에 대비하여 작업자에게 안전 매뉴얼과 교육을 제공한다고 말했습니다. 자세한 내용 참고는 https://www.mbn.co.kr/news/world/4810561 안전장비 착용의 중요성.. 14세 체험객 중상 지난 2022년 6월, 미국 텍사스주 소재 실내 어드벤처 파크에서 14세 체험객이 12m 펀월 등반 도중 추락하여 중상을 입은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위 사고는 오토빌레이 커넥터를 초보 체험자 스스로 체결토록 한 절차에서 발생한 실수로 판명되었습니다. 부상 체험자가 증언하길, 운영 스태프가 하네스까지는 착용시켜 주었으나, 빌레이 커넥터는 착용해 주지 않았다고 합니다. 시설을 이용할 때 근처에 보이는 매뉴얼을 한 번이라도 더 읽어보고 실천하거나, 준비가 다 되었더라도 한 번 더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 1 ··· 3 4 5 6 7 8 9 다음